이세왜계호(伊勢矮鷄縞). 성대의호(聖代之縞). 천사환(天賜丸)
잎이 두꺼운 두엽이다. 이름대로 [이세왜계(伊勢矮鷄)]를 재배 중에 돌연변이로, 그 자식 주(株)에서 줄무늬(縞)가 나온 것이다. 당시 [이세왜계]는 니근과 청근이 있었는데, 이 품종은 [청근 이세왜계] (현재는 [이세왜계]와 구별하여 [성대(聖代)]라 부른다.)에서 싹 변화이다. 결국은 [성대의호(聖代之縞)=성대금(聖代錦)]다. 천엽은 무지(靑)로 나와 아래 잎이 될수록 황호(黃縞)로 밝아지는데, 명료한 색은 아니지만, [운용롱]처럼 차분하고 깊은 맛이다. 두엽 중에서도, '단엽(왜계)'계라고 부르는 것으로, 보통 잎보다 폭이 넓고, 길이를 극단적으로 꽉 죈 느낌이다. 니축에 청근으로, 붙음매는 월형이다. 덧붙어 위의 개체보다 뒤에 나온 것으로, [이세왜계]에서 싹 변화한 [이세왜계의백호]도 있으며, 좁은 호는 희게 보이지만, 굵은 줄무늬는 황색을 띠어, [도우이중]과 비슷한 縞다. 또한, [이세왜계] 실생에서 나온 것으로, 청근에 선천성(先天性)의 백황호(白黃縞) 품종이 있으며, [천사환(天賜丸)]이라는 이름을 가졌다.